▲ 영화 포스터.

한국영화의 소재가 참 다양해졌다. 관객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니 반가운 일이고 영화 관계자 입장에서도 장르의 확장성이란 측면에서 고무적인 일이다. 이렇게 된 데는 CG의 힘이 크다. CG 기술력이 눈부실 정도로 발전하면서 상상의 영역에서만 머물던 다양한 시도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물괴>도 CG 없이는 시도가 불가능한 영화였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SF 크리쳐 무비라니 구미가 당기지 않을 수 없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듣지도 보지도 못한 짐승이라 하여 사물 물(物), 괴이할 괴(怪), <물괴>는 추석 대목 극장가의 단골 주인공에 안성맞춤이며 어떤 형태의 CG로 완성될지 꼭 괴수 영화 팬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구미가 당기는 소재다. 게다가 사극에 능한 배우 김명민이 물괴를 쫒는 주연으로 나섰고 든든한 조연 김인권과 <응답하라 1988>로 성공적인 연기 입문을 한 혜리까지 가세했으니 재료는 나무랄 데 없다. 

감독 입장에서는 이 좋은 소재를 잘 버무리기만 하면 된다. 보통 이렇게 양질의 소재가 신선하기까지 할 때는 양념은 덜 하고 기본만 충실해도 평타는 치은 법이다. 그런데 항상 지나친 욕심이 문제다. 이 조미료도 치고 싶고 저 재료도 좀 더 보태고 싶고 그러다보니 영화는 소재가 지닌 본래의 매력을 잃고 만다. 흥행 영화의 공식에 따라야만 직성이 풀리는지 액션, 코미디, 뜬금없는 로맨스까지 욕심껏 채워 넣었다. 그러다보니 주제는 선명하나 스토리는 산으로 가고 가는 과정도 삐걱거린다. 전체를 아우르는 연출이 중심을 잡았다면 묻힐 수도 있는 연기력 논란까지 산 너머 산인 형국이다. 하나만 집중했어도 이렇게까지 허탈하지는 않았을 텐데…라는 아쉬움이 크다. 

결정적으로 영화의 실질적 볼거리를 담당해야할 ‘물괴’의 퀄리티가 기대를 충족시키기엔 미흡하다. 관객의 CG 기대치는 이미 높아질 대로 높아져 있어서 더더욱 실망스러운 부분이다. 결국은 CG와 다른 시각적 요소들의 안배의 문제일 텐데 부족한 CG 퀄리티로 더 부족한 시각적 요소들을 퉁 치려 하는 모양새라 더더욱 총체적 난국일 수밖에 없다. 늘 하는 생각이지만 영화는 결국 감독의 작품이다. 좋은 영화 속에서 좋은 배우는 빛을 발할 수 있지만 함량 미달의 영화 속에서는 좋은 배우들도 길을 잃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의 한 가지 미덕이 있다면 앞서 언급했듯 조선판 크리쳐 무비에 대한 시도다. 허나, 딱 거기까지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